명확한 목표와 가설, 지표를 선정한다.
성과창출 기준으로 마케팅 활동을 조정해야 한다.
마케팅 활동 측정을 통해 통찰력을 얻고, 애자일 하게 움직인다.
소비재 기반의 마케팅 방법론이 주를 이룬다. IT 서비스에서는 CLTV(Customer LifeTime Value)를 명확하게 측정되지 않는 stage 의 제품이 있는데 이는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개발자로서 가입경로 추적 링크를 구축하거나, 랜딩페이지를 개발하는 등의 마케팅 업무 개발지원을 한적 있다. 제한적이겠지만 '제품이 사용자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까?', '마케팅적으로 어떤 메시지를 던질까?' 관점에서 회사 내의 마케팅 행위들을 멀리서 지켜봤다. 그래서인지 조금은 친숙하고 재밌게 읽었다. 그러나 여전히 마케팅에 대한 고민이 전무하여 내용이 장황하게 읽혔다.